정적사이트를 내 컴퓨터에 띄우고 글 작성 후 배포하기
컨텐츠 정보
- 18,199 조회
- 4 댓글
- 1 추천
- 목록
본문
1. 들어가며
이때까지 따라오셨다면
(1) 깃허브 계정과 Vercel과 연결되어 자동으로 배포되어 있고,
(2) 내 컴퓨터와 깃허브 계정이 연동되어 원격으로 수정이 가능하고,
(3) 개발 도구들이 내 컴퓨터에 깔려있고,
(4) C:\Users\사용자\Documents\gatsby\gatsby-starter-minimal-blog
위 경로에 정적사이트 파일들이 있을 것입니다.
이제 내 컴퓨터에 직접 정적사이트를 띄운 후, 파일 수정 후 즉시 변경사항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2. gatsby-config.js 파일 수정하기
C:\Users\사용자\Documents\gatsby\gatsby-starter-minimal-blog\gatsby-config.js
위 경로의 파일을 수정하면 기본적인 셋팅을 할 수 있습니다.
대략 3번째 줄에
위와 같은 내용이 있는데, 이 라인을
위 내용으로 대체합니다. 해당 내용을 읽어보시고 원하는 내용으로 교체하세요.
그리고 밑에 보면 트위터 인스타그램 계정을 넣을 수 있습니다. 원한다면 넣으시구요.
그리고 홈페이지 제목 밑에 Blog About도 원하는 이름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을
위와 같이 바꾸면 한글로 나타날 것입니다.
그리고 구글 분석 도구를 사용하고 싶다면
위 내용을
위와 같은 형식으로 바꾸면 됩니다.
추가 설정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https://github.com/LekoArts/gatsby-starter-minimal-blog
https://github.com/LekoArts/gatsby-themes/tree/master/themes/gatsby-theme-minimal-blog
https://juneyr.dev/jekyll-to-gatsby-블로그-👩🔧
위 세 링크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아무래도 UI가 없이 직접 수동으로 설정하는게 귀찮긴 하지만
이 부분은 초기에만 해주고, 주기적으로 변경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받아들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3. 내 컴퓨터에 정적사이트 띄우기
이제 내 컴퓨터에서 실제로 어떻게 표현이 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Git Bash에 들어가서
위 두 명령어를 내리면 정적사이트 폴더에 들어와질 것입니다.
먼저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할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yarn.lock 파일이 있기 때문에 yarn 명령어로 설치할 것입니다.
위 명령어로 정적사이트를 띄우는데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인터넷 연결 상태에 따라 다르겠지만 대략 1~10분 정도 걸립니다.
위 내용이 나오면 패키지 설치가 완료된 것입니다.
혹시나 위와 같은 에러가 뜬다면
위와 같이 npm install을 해줍니다. 그러면
위와 같이 패키지 설치가 잘될 것입니다.
설치가 끝나면
위 명령어로 개발전용으로 띄울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나오면 이제 내 컴퓨터 상에서 띄워진 것입니다.
이제 인터넷 브라우저를 켠 후 주소창에
위 내용을 넣습니다.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이제 실시간으로 변경된 내용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테스트로 사이트 제목을 바꿔봅시다.
아까 열었던 gatsby-config.js 를 다시 열어봅니다.
위 부분을 원하는대로 다시 바꾼 후 저장합니다. 그런 후 웹브라우저에 가보면 즉시 적용된 것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바로 안바뀐다면 F5 새로고침을 해보면 바로 적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원하는 부분을 실시간으로 바꿔서 적용 가능합니다.
4. 테스트 글 작성하기
이제 글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C:\Users\사용자명\Documents\gatsby\gatsby-starter-minimal-blog\content\posts
윈도우 탐색기에서 위 경로로 가봅니다.
그러면 기존에 있는 글 제목으로 된 폴더가 있는데요.
test라는 폴더를 생성해봅니다.
test 폴더에 들어간 뒤 우클릭 -> 새로 만들기 -> 텍스트문서 클릭 후
index.mdx 로 이름을 바꾸고 파일을 엽니다.
위 내용을 그대로 복사해서 넣은 후 저장합니다.
그러면 Git bash를 보면
위와 같이 에러가 뜨는데요. 이는 페이지 쿼리가 실행되지 않고, 캐시가 없기 때문입니다.
쿼리를 돌려주려면 index.mdx를 다시 열어서 아무 부분이나 수정해주고 저장해주면 됩니다.
이제 다시 웹브라우저에 확인해보면 자동으로 글이 생성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글이 생성된 이후에는 글 내용을 바꾸고 저장하면 바로 바뀌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5. Github에 업로드 하기
이제 글을 수정했으니, 해당 부분을 깃허브에 올려서 Vercel로 바로 배포되게 합니다.
Git bash에서 컨트롤 C를 두세번 눌러주면 개발 환경에서 빠져나옵니다.
위 명령어로 이때까지 수정한 모든 것을 저장합니다.
위 명령으로 커밋 이름을 지정해줍니다.
대략 위와 같이 나올 것입니다.
위 명령으로 내 컴퓨터에 수정된 내용을 깃허브의 pre 브랜치에 올려줍니다.
대략 위와 같이 나오면 깃허브에 올려진 것입니다.
이제 깃허브와 vercel의 대시보드에 가봅니다.
깃허브에는
위와 같이 나왔을 것이고,
vercel의 대시보드에 들어가보면 방금 올린 내용이 위와 같이 Preview Deployments에 있을 것입니다.
DEPLOYMENT에 들어가서 Visit을 눌러보면 잘 뜬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www.wsgvet.com/bbs/board.php?bo_table=staticsite&wr_id=7
브랜치를 통합하기 위해 위 링크의 3 ~ 5번을 따라합니다.
이제 pre 브랜치가 master 브랜치와 통합되어, 수정된 내용이 그대로 인터넷에 배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6. 마무리
정적사이트 생성 후 Vercel 연동, 깃허브 연동, 수정하는 방법, 내 컴퓨터에 띄워서 직접 수정 후 바로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글 작성의 경우
웹에서는 notion(https://www.notion.so) 을 추천드립니다.
로컬에서 작성하실 경우 마크다운 에디터인 Typora(https://typora.io)를 추천드립니다.
기존에 있는 글 작성 부분을 잘 살펴보면 어떻게 작성하는게 좋은지 확인할 수 있으니 참조하시구요.
여기까지 따라오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주세요.
-
등록일 2020.10.11
-
등록일 2020.07.14
-
등록일 2020.07.06
-
등록일 2020.07.06
관련자료
-
서명우성짱의 NAS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저의 즐거움이 여러분의 즐거움이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