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litespeed 웹서버 설치 및 Nginx 리버스 프록시 서버 설정하기 (2)
컨텐츠 정보
- 9,902 조회
- 8 댓글
- 1 추천
- 목록
본문
1. 관리자 모드 접속 및 lsphp7.4 적용하기
(1)편의 마지막부터 다시 시작합니다. 스샷이 너무 없어서 스샷 좀 넣고 갈게요 ㅎㅎ
admin.자신의주소 로 들어가면
위와 같은 관리자 접속화면이 뜰겁니다.
유저네임에는 admin을 넣고, 패스워드에는 원클릭 설치 제일 처음에 적어뒀던 WebAdmin password 를 넣으면 됩니다.
혹시 기억이 나지 않는다면
위 명령어를 내리면
WebAdmin user/password is admin/xxxxxxxxx
위와 같이 아이디 비번을 알려줍니다.
접속을 하면 위와 같은 대시보드가 뜹니다.
php 버전을 7.3에서 7.4로 바꾸려면 왼쪽 위에 Server Configuration > External App에 들어가면
LiteSpeed SAPI App lsphp uds://tmp/lshttpd/lsphp.sock 이런 내용이 있는데
오른쪽에 Actions에 보면 가운데 버튼이 수정 버튼입니다.
그걸 누른 후 가운데 쯤에 Command가 있는데 lsphp73/bin/lsphp 를 lsphp74/bin/lsphp로 바꾸고
오른쪽 위에 디스켓 모양을 누르면 저장이 됩니다. 저장 후 오른쪽 위에 보면 새로고침 버튼이 있는데 그걸 누르면 서버를 재시작해서 적용이 됩니다.
2. 관리자 ID 및 비번 변경하기
관리자 ID를 admin으로 두는 것은 위험합니다. 물론 Nginx에서 관리자 페이지를 IP 차단해두면 큰 문제는 없지만요.
그래도 수정해두는게 좋겠죠?
아까 대시보드 화면에서 WebAdmin Settings > General > Users 를 누르면 유저네임에 admin이 하나 뜹니다.
오른쪽에 Actions에 수정 버튼을 누른 후 원하는 아이디 및 비번을 설정해주면 됩니다. 저장 후 다시 새로고침 버튼을 누르면 로그아웃되는데, 설정한 아이디 비번으로 접속하면 됩니다.
3. 관리자 페이지 SSL 인증서 경로 수정하기
관리자 페이지는 기본적으로 SSL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이 인증서는 자체 인증한 인증서로써 3년이 지나면 폐기됩니다.
우리는 이미 Let's encrypt 와일드카드 인증서가 있기 때문에 그 경로로 바꿔주면 폐기를 걱정안해도 됩니다.
대시보드 -> WebAdmin Settings - Listener adminListener > General > SSL > SSL Private Key & Certificate
위 경로에서 수정 버튼을 누르면
Private Key File $SERVER_ROOT/admin/conf/webadmin.key
Certificate File $SERVER_ROOT/admin/conf/webadmin.crt
위와 같이 자체 인증서 경로로 되어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위에 프라이빗키 경로를 /etc/letsencrypt/live/yoursite.com/privkey.pem
아래 인증서 파일 경로를 /etc/letsencrypt/live/yoursite.com/fullchain.pem
위와 같이 yoursite.com을 기록해두셨던 경로로 꼭 바꿔주고 저장한 뒤에 새로고침하면 됩니다.
4. 확장자별 만료기한 설정하기
이미지, js, css, font 파일이 전부 7일로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수정해줄 것입니다.
대시보드 > Virtual Hosts > wordpress > General 에 보면 밑 부분에 Expires Settings가 있습니다.
수정 버튼을 누른 후
Enable Expires > Yes 체크
Expires Default > 비워두기
Expires By Type에
image/*=A31536000,text/css=A31536000,application/x-javascript=A31536000,application/javascript=A31536000,font/*=A31536000,application/x-font-ttf=A31536000
위 내용을 넣어주면 만료기간이 1년으로 잡힙니다. 그리고 저장 후 새로고침 버튼을 누르면 적용됩니다.
5. lsphp 셋팅값 넣어주기
(1)에서 php7.4는 수작업으로 넣어줬는데요.
오픈라이트스피드 웹서버에서는 관리자페이징에서 오버라이드 해주면 바로 적용됩니다.
대시보드 > Virtual Hosts > wordpress > Context 에 보면 타입에 NULL이 있는데 오른쪽에 수정버튼을 누릅니다.
제일 밑에 보면 php.ini Override 가 있는데 여기에
php_value short_open_tag On
php_value memory_limit 256M
php_value cgi.fix_pathinfo 0
php_value upload_max_filesize 100M
php_value post_max_size 101M
php_value max_execution_time 360
php_value date.timezone Asia/Seoul
위 내용을 넣고 저장 후 새로고침 누르면 자동 적용됩니다. 참 쉽죠? ^^
6. 서버의 LSCACHE 저장소를 RAM에 올리기
오픈라이트스피드 웹서버의 LSCACHE는 Nginx의 FastCGI 캐시 역할을 하는 모듈인데요.
그 저장소를 RAM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대시보드 > Virtual Hosts > wordpress > Modules에 보면 비어있는데요.
오른쪽에 + 를 누르면 추가할 수 있습니다. Module을 눌러보면 cache가 있는데 그것을 선택하고
Module Parameters 에
storagepath /run/lscache
위 내용을 넣습니다. 그리고 Enable Module을 Yes에 체크한 뒤에 저장 후 새로고침하면
이제 캐시 파일이 전부 RAM에 저장됩니다.
Nginx의 Proxy cache도 RAM에 저장되고, 오픈라이트스피드 웹서버의 LSCACHE도 RAM에 저장되니
슈퍼스피드가 됩니다.
다음 글에서는 드디어 워드프레스에 접속해서 LiteSpeed Cache 플러그인 설정을 해보겠습니다.
-
등록일 2020.10.10그누보드 SMTP 외부메일 설정하는 방법댓글 26
-
등록일 2020.10.03그누보드5에 실시간 채팅 구축하기댓글 13
-
등록일 2020.09.26
-
등록일 2020.09.24도커로 메일서버 구축하기댓글 4
관련자료
-
서명우성짱의 NAS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저의 즐거움이 여러분의 즐거움이면 좋겠습니다.
해를쏘다님의 댓글
램에다 캐시를 설정하면 서버 재부팅시 날라가게 되는건가요 아니면 재부팅후에도 캐시 재생성 없이 다시 쓸 수 있는건가요? 우성군님은 서버 재부팅 얼마 주기로 하시나요?
그리고 A 사용자가 특정페이지를 봐서 서버에 캐시가 생성된 후 B사용자도 같은 페이즐 본다고 가정할대 B사용자는 A사용자 때 생성된 캐시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건가요? 아님 B사용자도 같은 페이지를 본다 하더라도 캐시를 다시 생성하게 되는건가요? 즉 같은 페이지라도 사용자별로 서버에 캐시가 각각 생기는건가요?
초보라 질문이 많았습니다. 답변 좀 부탁드립니다 (__)
우성군님의 댓글의 댓글
1. 램에 캐시를 설정하면 서버 재부팅시 캐시가 날아갑니다.
저는 서버 재부팅을 거의 하지 않습니다. 지금 이 홈페이지가 돌아가는 홈서버도 60일 이상 재부팅없이 돌아가고 있습니다.
2. A사용자가 특정페이지를 보고 캐시가 생성이 된다면 B사용자가 특정페이지를 보면 그 캐시된 페이지를 바로 보게 됩니다. 캐시 옵션으로 해당페이지를 1번 보고 캐시를 생성할지 2번 보고 캐시를 생성할지 지정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캐시 옵션에서 1을 넣으면 누구든지 한번 접근하면 바로 캐시가 생성되고, 2를 넣으면 2번 접근시 캐시가 생성됩니다.
따라서 사용자별로 캐시 페이지가 생성되지 않고 누구든지 한번 해당페이지를 보게되면 캐시가 생성됩니다. 그리고 그 캐시된 페이지는 누구나 같이 보게 됩니다.
따라서 그누보드나 클리앙 같은 커뮤니티 사이트에는 이 팁이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게시글 목록이 항상 갱신되고, 내용이 바뀌기 때문이죠.
하지만 워드프레스의 경우 글 내용이 자주 갱신되지 않기 때문에 이 팁이 효과적입니다.
djkiller님의 댓글
네이버 로그인이 플러그인 에러라고 로그인이 안됩니다.
궁금한점이 있어 댓글 남깁니다.
php.ini Override 가 있는데 여기에
php_value short_open_tag On
php_value memory_limit 256M
php_value cgi.fix_pathinfo 0
php_value upload_max_filesize 100M
php_value post_max_size 101M
php_value max_execution_time 360
php_value date.timezone Asia/Seoul
넣고 재시작 해주고 php-info.php로 보면 적용이 안되어있습니다.
또한 인증경로도
위에 프라이빗키 경로를 /etc/letsencrypt/live/yoursite.com/privkey.pem
아래 인증서 파일 경로를 /etc/letsencrypt/live/yoursite.com/fullchain.pem
제 사이트 경로로 수정해주었는데 관리자 페이지는 https 접속이 안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