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라클 클라우드 인스턴스와 도메인 연결하기
컨텐츠 정보
- 23,597 조회
- 20 댓글
- 0 추천
- 목록
본문
워드프레스, 그누보드, 라이믹스 같은 홈페이지를 운영하거나,
VMess 또는 Trojan-Go 같은 기술을 이용하여 Websocket 방식으로 중국의 황금방패를 우회하려면 도메인(홈페이지 주소)이 필요합니다.
먼저 도메인을 사거나 받은 뒤, 도메인이 오라클 클라우드 인스턴스의 IP를 가리키게 해야합니다.
즉 IP를 기억하지 않아도 도메인만 사용해도 되는거죠.
1. 무료 홈페이지 주소 받기
https://blog.wsgvet.com/free-homepage-address-freenom/
도메인을 직접 구입하는 것이 제일 좋지만 테스트로 무료 홈페이지 주소를 추천드립니다.
한번 써본 후 정상적인 도메인을 구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2. 클라우드 플레어 가입 및 네임서버 변경하기
https://blog.wsgvet.com/cloudflare-sign-in-and-change-nameserver/
프리넘이나 도메인 업체의 네임서버는 기능이 부족하고 전파 속도가 느립니다.
따라서 클라우드플레어를 사용하여 더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도메인의 네임서버를 클라우드플레어로 지정했다면, 이제 오라클 클라우드 인스턴스와 도메인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3. 도메인과 공용 IP 연결하기
위 링크로 클라우드플레어에 접속 후

위와 같이 추가한 도메인 주소가 뜰겁니다. 혹시 이메일 인증 안하셨으면 꼭 하시구요.
해당 주소를 클릭하면 설정 화면으로 넘어갑니다.

위와 같이 DNS를 누릅니다. 그리고 +Add record를 눌러줍니다.

위와 같이 Type에는 A
Name 에는 @
IPv4 address에는 오라클 클라우드 인스턴스의 공용 IP를 넣어주면 됩니다.

Proxy status 에는 공용 IP가 노출되어도 되는 환경(홈페이지 등)에서는 DNS only로 변경하고,
중국 황금방패를 우회하거나, 공용 IP를 숨기고 싶은 서비스를 하고 싶다면 Proxied로 변경 후 Save를 클릭하면 됩니다.
참고로 Proxied 상태로 변경시 웹서비스의 경우 클라우드플레어의 미국 LA서버, 일본 KIX서버 등으로 경유되므로 속도가 매우 느립니다.
다만 VMess나 Trojan-go 같은 Websocket을 이용하는 경우 직접 접속이 되므로 업다운로드 속도 걱정은 안하셔도 됩니다. 다만 지연율(Ping)은 높아집니다.
ping은 DNS Only 상태에서는 50~60ms 정도 나오고, Proxied 상태에서는 300~500ms 정도 나옵니다.
클라우드플레어 서버가 미국 LA나 일본 나리타에서 연결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이제 공용IP는 기억할 필요가 없습니다. 도메인이 곧 IP이기 때문입니다.

VMess의 Websocket으로 접속하기 위해 위와 같이 SSL/TLS 탭에 들어가서 3번째 Full 또는 4번째 Full (strict)로 변경해주세요.
Trojan-go의 경우 클라우드플레어 자체 인증서를 이용하는 것이 편하므로 3번째 Full로 선택하면 됩니다.
다음에는 Caddy와 Web Socket, TLS를 이용하여 VMess로 접속해보겠습니다.
-
등록일 2021.02.23
-
등록일 2020.11.26
-
등록일 2020.11.17오라클 클라우드 인스턴스와 도메인 연결하기댓글 20
-
등록일 2020.11.14
관련자료
-
서명우성짱의 NAS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저의 즐거움이 여러분의 즐거움이면 좋겠습니다.
AllPGS모든프로그래머들님의 댓글
오류나는건 첨이라... ㅋㅋ;;
rpjhp님의 댓글
저는 porkbun에서 도메인 만들었고, cloudflare 연결 후
현재 상황은 :
1/ 제가 만든 도메인 웹사이트가 접속이 안됩니다.
2/ vpn 클라이언트로 접속 시 v2ray, shadow socks, outline 등 다 접속 안됩니다 (도메인으로 연결 하기 전, 즉 ip주소로 했을땐 정상 접속 가능했습니다.)
현재 porkbun 설정은:
1/ nameserver는 cloudflare에서 제공하는 2개 등록하였고, 원래 있던 porkbun 네임서버는 지웠습니다.
2/ dns는 다 지워서 없습니다 (도메인 구매 후 porkbun에서 디폴트로 제공하는 dns가 있던걸로 기억합니다. cloudflare에서 제공하는것으로 하려고 지웠던걸로 기억합니다.)
cloudflare 설정은:
1/ dns : 아래와 같은 record 하나만 등록했습니다:
type a, name: @으로 type했으나 등록 후 자동으로 도메인으로 바뀌어집니다.
ipv4 address: 오라클 서버의 ip주소
proxy status: proxied
ttl: auto
2/ ssl: full strict
이렇게 셋업 중입니다. 혹시 어떻게 수정해야 vpn 정상으로 작동 할까요?